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테이블생성
- diario
- InteliJ
- 내장객체영역
- 첫줄
- 도전로그
- requestparameter
- 종단관심사
- daily
- 책추천
- 2챕터독서
- 권한부여
- 생크림활용기
- MySQL
- 소트라테스익스프레스
- 스프링
- tㅐ
- 데이로그
- 데일리
- onlyfullgroupby
- 데이터베이스생성
- JSP
- final변수
- 복습!
- 횡단관심사
- 자기계발
- 요청파라미터
- 일상
- 평가용
- 노스마트폰챌린지
- Today
- Total
목록DATA/SQL (4)
Emma.log()
오라클 조인 1. INNER JOIN Inner Join은 교집합 (A ∩ B) 연산과 같다. 조인키 컬럼값이 양쪽 테이블 데이터 집합에서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데이터만 조인해서 결과 데이터 집합으로 추출한다. 이너조인은 생략할수있고, 콤마로 나타낼수있다. SELECT 컬럼명 [, 컬럼명] FROM 테이블 A [INNER] JOIN 테이블 B ON 테이블A.조인키컬럼 = 테이블 B.조인키컬럼; 또는 SELECT 컬럼명 [,컬럼명] FROM 테이블 A, 테이블 B WHERE 테이블A.조인키컬럼 = 테이블 B. 조인키컬럼; 2. LEFT OUTER JOIN Left outer join은 교집합 연산결과와 차집합 연산결과를 합친것과 같다. 조인키 컬럼값이 양쪽 테이블 데이터 집합에서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데이터와..

1. NULL 의 이해 테이블에서 직원번호, 직원이름, 급여, 커미션, 급여와 커미션의 합을 조회하면 커미션 부분에 null값이 존재한다. 여기서 null은 알수없는 값을 의미한다. null은 정의되지 않는 값으로 0 또는 공백을 의미한다. 즉 null값을처리하지 않으면 null 값을 포함하는 연산의 경우 결과가 0이 나온다. 그래서 null 을 처리해야한다. 1-1 NULL 처리함수 NVL NVL(null 판단대상, 대체값) 으로 사용한다. 즉 comm의 경우 NVL(comm, 0) 으로 변환후 사용해서 null을 0으로 바꾼뒤 계산해야한다. 1-2 NULL 검색 IS NULL / IS NOT NULL --교수 테이블에서 보직수당이 없는 교수의 이름, 직급, 보직수당을 출력하여라. comm이 없다는것은..

oracle 복습을 위해서 복습용 테이블 scott2를 system계정에서 생성하였다. 사용자 생성과 권한부여는 관리자 계정인 system에서 해야한다. 1. 사용자 생성및 권한부여 create user scott2 IDENTIFIED BY tiger; GRANT connect, resource to scott2; 이렇게 system계정에서 먼저 사용자를 생성후에 developer 에서 이 순서대로 + 버튼을 먼저 누르고 scott2로 name 입력 후 scott2로 사용자 이름 생성 비밀번호도 create user ~ IDENTIFIED BY 다음에 입력한 tiger로 비밀번호를 생성하고 테스트 후에 성공 나오면 접속해야한다. 나중에 복습할내용이지만, 여기서 만약 grant 를 애초에 system에서 ..

와 진짜 이거는 꼭 알아둬야할 부분인것 같다 오라클 연동할떄 이클립스에서 ping test failed나올때 1. cmd에서 연결 포트번호 확인해보기 cmd에 tnsping 127.0.0.1 다음과 같이 명령어를 입력하면 이렇게 결과를 얻는데, 여기 입력된 HOST=127.0.0.1과 포트번호 1521가 이클립스 생성창의 입력값과 같은지 확인하기 2. jar 파일이 제 위치에 있는가 확인하기 사실 처음하는 많은 사람들이 이부분에서 걸리는데 나는 이부분은 수업시간에 들은것을 그대로 메모해둬서 이부분은 걸리지 않았다. 처음 설치할때 보면 제위치에 오라클을 연동하는 jar 파일이 없는 경우가 많다. 3. Service name 또는 SID 확인하기 이건 내가 문제가 됬던 부분이다. 사실 이것 말고 포트 확인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