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2챕터독서
- 평가용
- 생크림활용기
- final변수
- diario
- 요청파라미터
- 종단관심사
- 권한부여
- 노스마트폰챌린지
- onlyfullgroupby
- 소트라테스익스프레스
- 스프링
- requestparameter
- 복습!
- 책추천
- 도전로그
- 횡단관심사
- 첫줄
- 데이터베이스생성
- 자기계발
- 데이로그
- tㅐ
- InteliJ
- JSP
- 테이블생성
- 내장객체영역
- 데일리
- 일상
- MySQL
- daily
- Today
- Total
목록Back-End/Java (40)
Emma.log()

스테틱메서드의 경우 12번라인에서 스테틱변수를 초기화 할때 z=100으로 초기화 해줘서, 객체 생성해서 동작할때 초기화가 먼저 되기때문에 초기화 된 결과가 나온다 위에 밑줄그은 부분을 보면 Test클래스의 인자 세개짜리 생성자를 생성할때 int z1으로 마지막 매개변수를 다르게 이름짓고 그 값을 z로 다르게 사용했다.그리고 생성자에 매개변수를 입력해서 호출하는데 이때는 변수를 입력만 했다. 디폴트 생성자를 자동으로 호출하는데 스테틱 메서드가 static{} 가 생성자보다 먼저 동작을 하고 그다음에 객체가 만들어진다. 마지막으로 볼 부분은 스테틱변수로 선언된 z의 객체생성후 초기화대입니다... 스테틱 메서드는 먼저 동작한다고 했다. 그럼 35,36번라인에서 ob1,ob2 객체를 생성할때 z에 각각 3,6을..

자바의 모든 클래스는 오브젝트 클래스의 자식 클래스가 된다 그래서 import java.lang.Object; 요부분은 생략되었다고 봐도 무방하다.18번 라인처럼 객체를 생성해서 사용할때 앞부분을 생략하고 이렇게 사용할수있다. 13번라인과 14번라인의 값은 동일하게 나온다. this와 toString 은 생략 가능하다 this는 자기자신 객체를 가리키는거라여기선 생략가능하다.

상수 : 이름을 가지는 고정값, 매개변수를 주고받을때 사용한다. 파이널변수 고정값으로 써야할때 매개변수로 넘어오는 값도 고정해야하는경우에 아래처럼 사용 가능하다.여기서 보면 18번라인처럼 메서드를 파이널(final)로 선언하면 오버라이드가 안된다 . 에러가 난다.

접근지정자의 차이를 살펴보려고 다음과 같이 클래스를 생성하였다.access1,2는 한 패키지에 access3,4를 한 패키지에 넣어서 생성하였다.private 의 접근은 동일한 클래스 내에서 같은 클래스에서 접근이 가능하다. 멤버변수니까, --> 다른클래스라면 접근이 안된다. default 의 접근지정자는 사용할때는 접근지정자를 작성 안하면 그것이 디폴트 접근지정자이다. 같은 패키지 내의 클래스라면 변수를 인식할수 있다. public 은 어디서든 접근할수 있는데 사실 객체지향의 목적이 멤버변수에 대해서 정보은닉을 하자 라는것이기 때문에 멤버변수를 private으로 지정하는것이 좋다.protected는 패키지가 다르게 생성되서 다른 패키지에서는 접근할수가 없다. 이때 상속처리를 활용해서 이용하면 된다 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