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책추천
- daily
- 평가용
- 복습!
- 첫줄
- 테이블생성
- final변수
- 자기계발
- 데이로그
- 생크림활용기
- 요청파라미터
- InteliJ
- 일상
- 데일리
- 노스마트폰챌린지
- 횡단관심사
- MySQL
- 데이터베이스생성
- requestparameter
- 도전로그
- JSP
- tㅐ
- 2챕터독서
- 스프링
- 소트라테스익스프레스
- onlyfullgroupby
- 내장객체영역
- 권한부여
- 종단관심사
- diario
- Today
- Total
목록Back-End/Spring (24)
Emma.log()
Identify and stop the process that's listening on port 8080 or configure this application to listen on another port 이런 오류를 내면서 스프링 실행할때마다 포트충돌 오류가 났다. 근데 어디서 오라클 포트도 기본적으로 8080을 쓴다고 했던게 생각나서 오라클 포트를 8181로 바꿨다. 왠지 DB는 오라클을쓰던 mysql을 쓰든 이것저것 다양하게 쓰는데 스프링은 기본적인 프레임워크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그냥 그렇게 바꿨다. 오라클 포트로 바꾼 방법은 sqldeveloper 에서 실행한건 아니고, cmd에서 sqlplus접속해서 바꿔줬다. >>> sqlplus system/비밀번호 -- 비밀번호는 system기본 비밀..
1. build.gradle 설정 가장먼저 build.gradle에 dependencies 를 추가한다. // https://mvnrepository.com/artifact/org.apache.tiles/tiles-jsp implementation group: 'org.apache.tiles', name: 'tiles-jsp', version: '3.0.8' // https://mvnrepository.com/artifact/org.apache.tiles/tiles-core implementation group: 'org.apache.tiles', name: 'tiles-core', version: '3.0.8' // https://mvnrepository.com/artifact/org.apache.ti..
ㅈㄱㄴ package com.example.quiz; import com.example.quiz.entity.Quiz; import com.example.quiz.repository.QuizRepository; import com.example.quiz.service.QuizService;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autoconfigure.SpringBootApplication; import java.util.*; @SpringBootApplication public cl..

스프링 구동할때 자꾸 8080 서버 사용중이라고 에러나서 화가 난다... 1. cmd를 관리자로 열기 (굳이 관리자 아니어도 될것같은데 그냥... 이거로연다) 2. netstat -ano|findstr 8080 입력 -- 특정포트(나는 8080) 를 사용하는 네트워크 통계정보를출력한다. 3. pid 보통 맨 끝에 뜬다. 그 pid 확인해서 4. taskkill /F /pid [확인한 porcess_id] 입력한다. -- 출력된 목록의 process_id를 입력해서 강제종료한다. 한두번도 아니고.. 종종 이래서.. 화가나서 기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