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데일리
- 권한부여
- JSP
- final변수
- daily
- 도전로그
- 자기계발
- 2챕터독서
- 평가용
- diario
- 생크림활용기
- InteliJ
- 요청파라미터
- 데이로그
- 첫줄
- 테이블생성
- 스프링
- requestparameter
- 소트라테스익스프레스
- 책추천
- 내장객체영역
- onlyfullgroupby
- MySQL
- 종단관심사
- 노스마트폰챌린지
- tㅐ
- 복습!
- 횡단관심사
- 데이터베이스생성
- 일상
- Today
- Total
목록Back-End/Java (40)
Emma.log()

// if문 : 조건 검사를 수행한 후 결과에 따라 동작을 결정 --3항 연산자와 비슷하다 // 3항연산자는 조건을 검사하고 플롯뒤의값을 계산하는데 if 문도 개념은 비슷하다 1) 단순 if문if문은 if(조건문){}으로 사용한다.조건문에는 논리연산 or 관계연산)으로 작성한다.if문의 브레이스가끝난뒤의 문장은 if문과의 관계없는다음문장이다 2) if~else문if(조건문){if문을 만족할때 출력문}else{if 만족하지 않으면 else문에 있는값으로 처리} 3) if~ else if ~ else문조건을 하나만 검사하지않고 여러개 검사할때 사용한다.

난수 함수 : 컴퓨터가 임의의 숫자를 발생, 의사난수 (pseudo random)Math클래스 이용그냥 math클래스를 이용해서 랜덤함수를 사용하게 되면 0~0.9999 0부터1미만의 실수인 난수를 생성한다따라서 그걸 정수값으로 바꿔서 사용하게 되면 정수값인 난수를 생성할수있다. (int)(Math.random()*10+1 : 정수를 만들고 나서 1을 더하기 해주는것. : +1의 의미 : 1부터 값을 시작하겠다. 정수를 처음 만들어줘도 값이 0부터라 0이 되니까 시작하는 값을 마지막에 더해줘야한다 *10의 의미 : 10+1이 11이라서 11미만의 값을 표현한다. 만약 50부터 81미만의 정수 난수를 생성한다면*31+50 으로 마지막에 시작할 숫자, 앞에 81을 만들기 위해 더하기 해줘야할 숫자를 입력해준..

이클립스를 cmd 처럼 사용하기처음 자료형을 입력하지 않고 args[0] 아규먼트로 입력을 받아서 사용한다. 이때 아규먼트는 마우스 우클릭 -> run as -> run configurations -> 두번째 탭Arguments 에서 바로 프로그램 아규먼트에 10 20 30 순서대로 입력해도 되고, variables 에 st 검색시 나오는 string_prompt 를 사용해서 런 해줘도 된다 스트링 프롬프트를 이용하면 나중에 동작할때 값을 입력하게끔 시스템 창으로 뜬다 여기서 args[0] 은 아규먼트를 하나의 리스트라 생각하고 리스트는 0부터 시작이니까 0번째 방인 숫자 10이 출력되고args[1]은 1번째 방인 20, args[2]는 2번째 방인 30이 출력된다

// 표준입력장치 : 키보드//표준 출력장치 : 모니터키보드로 입력받아 변수를 대입할수있다이때 키보드로 입력받은 값을 변수에 대입하여 저장해주어야 한다.그것을 변수 name으로 선언한경우 br.readLine(); 을 이용해서 대입BufferedReader 로 입력받은 값을 br변수로 선언했으니까 br.readLine() 으로 입력받은값을 저장한다는 의미가 된다버퍼트리더로 입력받은 값은 문자열자료형이기때문에 숫자로 받거나 할때는 받은 값을 파싱 해주어야한다.그때 입력받은 값이 문자 1개인 캐릭터형자료형일때는 .charAt()을 이용해서 () 사이에 인덱스로 주어진 위치값에 해당하는 문자를 리턴받게끔 한다 . 도트의 의미는 잘 이해하고 있어야 나중에 객체에서도 사용된다 int , float, doble형 ..